교육/심리학
학습4. 공포증은 고전적 조건형성을 설명한다.
움파룸파
2021. 5. 11. 19:33
공포증은 고전적 조건형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모델이 된다.
한 가지 예인 꿀벌에 대한 공포증은
이전의 경험인 꿀벌의(CS)의 고통스러운 쏘기(UCS)의 결과와 연합되어
꿀벌에 대한 점차 공포심(CR)을 갖게 되는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개에게 물린 사람은 개를 두려워하는 공포를 갖게 된다.
실패의 공포는 고전적 조건형성의 또 다른 반응의 예이다.
지나치게 실패를 두려워하는 사람은
실패는 불쾌한 상황의 경험과 이전에 연합된 적이 있을 것이다.
어린 학생들의 경우는 실패에 대해 화난 부모로부터 인한 고통스러운 벌과
급우들의 조롱이 연합하게 되어 공포를 형성하게 된다.
실패는 학교와 집이나 어디에서나 새로운 과제나 일을 시도할 때
자연스럽게 발생하게 되는 일이다.
교사와 부모들은 실패가 아이와 학생들에게
공포와 같은 강한 조건자극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사람이 통증과 같은
고감도 생리적 반응, 불안과 같은 정서반응
그리고 호·불호 같은 어떠한 자극에 대한 태도 등을
습득하게 되는지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을 예를 알아감으로서
우리가 고전적으로 조건이 형성되는 반응을 인식하게 되며
개선할 점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은 소거와 역조건의 형성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