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대해교육/심리학 2021. 5. 18. 18:57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자신이 수립한 정신분석을
스스로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리고 있다.
첫째 정신분석은 다른 방법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정신 과정을 연구하는 절차
둘째 그런 연구에 근거해서 신경증적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셋째 그런 방법으로 수집한 심리과 학적 정보들의 총제로
점진적으로 자리매김한 새로운 과학 분야를 지칭하는 이름이다.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을 이해하는 좋은 방법은
그 역사를 연구하는 것이라 기록하였지만
프로이트가 최초의 정신분석가로 50년에 해당하는 경력을 쌓아 오는 동안
프로이트 그의 자신의 생각은 계속 변화하고 발전이 되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글들이 심리학, 특히 현대의 정신분석의 분야에 있어서
결정적이고 최종적인 것으로 판단되고 간주되지 않는다.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에 의해 창시 되었지만
그동안 이 분야에서 너무 많은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엄청난 진화와 발달이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어떤 특정 과학의 분야에서 핵심적인 문제를 가장 깊이 있고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선도적인 이론을 패러다임(paradigm)이라 불린다.
패러다임이 어떤 분야의 핵심 개념이지만
그렇다고 항상 모든 문제를 다 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자연히 패러다임이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관찰의 결과들이
필연적으로 나오게 되고 기존의 패러다임이 이러한 새로운 결과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는 관찰 결과들이 점진적으로 쌓이게 되어서
의미가 크게 약화되거나 무의미해질 때
새로운 관찰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비로써 새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게 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분야에서 그의 이론은
다양하게 확대되거나 수정 발전되었다.
이드심리학 혹은 욕동심리학(id psychology or drive psychology)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과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그리고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 등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계속되어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에 의해 창시되었고
초기 몇십 년은 프로이트에 의해 전적으로 발전되었다.
프로이트는 욕동심리학을 완성했고 자아심리학의 초석을 놓았다.
프로이트 이후 정신분석은 현대 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이론
자기심리학 그리고 상호주관성이론 등으로
그 이론이 확대되고 그리고 수정되어 발전했다.
'교육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0) 2021.05.21 성격심리학 성격이란.. (0) 2021.05.21 자기개념에 대해서 (0) 2021.05.18 심리학의 시작 - 시작에 대해서 (0) 2021.05.11 학습4. 공포증은 고전적 조건형성을 설명한다. (0) 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