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교육/심리학 2021. 5. 21. 20:16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프로이트와 주장과 같이
인생 초기의 경험이(생후 5년)동안의 경험에 삶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프로이트의 결정론적이고 생물학적인 관점을 비판하고
인간을 전체적인 관점으로 보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은 자신을 어떻게 주관적으로 지각하느냐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아들러는 이러한 자신의 이론을
개인심리학(Individual psychologie, Individual Psychology)이라 명했다.
아들러는 개인의 독자적인 전체성을 강조하고
인간을 움직이는 최대의 동기를 우월에 대한 욕구로 꼽았다.
프로이트가 인간의 기본 동기를
생물학적 성적 본능으로 간주하며
결정론적인 관점으로 설명하고 있는 반면에
아들러는 인간이 사회심리학적이고 목적론적인 동기가 있고
그 동기가 인간을 움직인다고 보았다.
개인심리상담으로 불리는 아들러의 상담방식은
개인심리학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상담치료체계라 할 수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원초적, 자아, 초자아로 분류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아들러는 인간을 더 이상 분류와 분리, 분할할 수 없는
그 자체로 보고 완전한 전체로 볼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아들러의 상담은 정신병리적인 입장을 거부하고
신경증적 문제가 있는 사람을
병에 걸린 사람이라 분류하지 않고 낙담한 사람이라 본다.
아들러의 상담과정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형성의 단계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 간의 합의된 목표를 향해
적극적인 파트너로 일하는 평등한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추구한다.
둘째, 생활양식의 탐색단계는 생활양식을 이해하고
생활양식이 삶의 과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하고 있다.
셋째, 통찰의 단계는 통찰력을 가지는 단계이다.
넷째, 재정향(행동의 전환) 단계로 진행된다.
아들러의 상담기법으로는 일반적인기법과 특수기법이 있다.
일반적인 기법은 즉시성과 충고하기, 격려하기
역설적 의도, 시범보이기와 역할놀이 등이 있다.
특수기법은 초인종 누르기, 내담자의 수프에 침 뱉기와 마이더스 기법
저질의 아이 피하기, 타인을 즐겁게 하기와 스스로 억제하기로 구분된다.
아들러의 개인심리상담은 의학적 모델이 아닌 성장모델을 기초하며
치료의 측면보다 건강한 개인과 사회를 재교육하고
재조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아들러의 개인심리상담의 방법은
아동지도센터, 부모-아동상담, 가족상담, 부부상담, 집단상담과 치료
아동과 청소년 개인상담과 문화적인 갈등, 정신건강 운동 등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교육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 (0) 2021.05.28 성격심리학 다중특성이론 (Big-five) (0) 2021.05.22 성격심리학 성격이란.. (0) 2021.05.2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대해 (0) 2021.05.18 자기개념에 대해서 (0) 2021.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