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이란 경험의 과정을 통해 얻은 행동과
지식의 비교적인 영속적인 변화를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습득하는 여러 능력 중에 학습은 가장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나이가 들어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변화와(성숙) 무릎반사, 재채기와 같은 자극에 대한 반응과 행동(반사적 행동), 질병과 피로와 같은 일시적인 행동은 학습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19세기 말부터 학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이 시작되었습니다.
다윈의 진화론을 바탕으로 인간과 동물을 하나의 연속된 선상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연구의 결과로 많은 학습의 원리는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학습이론의 한 방법인 고전적 조건 형성은 행동주의의 한 예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파블로프의 고전적인 개 실험을 살펴보면 그의 아이디어를 인간 학습에 까지 확장시켜 보면
고전적 조건 형성의 성격을 고찰할 수 있게 됩니다.
21세기 이전의 심리학의 주류의 관점은 구조주의(분트)와 가능 주의(듀이)로 정리되었습니다.
이 두 관점은 연구방법론의 정확성과 엄밀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습니다.
구조주의자들은 학습과 기타 심리의 현상을 나관법이라는 방법으로 탐구하고 있었으며
이 주요 탐구 방법은 주관적이지 못하고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하다고 비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연구방법이 객관적이지 않기에 학문으로서 심리학이 과학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염려가 있었습니다.
러시아의 생리학자인 파블로프와
미국의 심리학자 손다이크의 연구를 시발점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내관법의 정신상태보다는 관찰이 가능한 현상에 포커스를 맞추는
객관적인 학습연구의 접근법이 출현하였고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행동을 주된 관점으로
일차적으로 관찰하게 되었으며 이런 연구는 행동주의 운동이 되었습니다.
행동주의자들은 기본이 되는 가정을 공유하였습니다.
첫째 학습의 원리는 여러 행동과 동물 종에 똑같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습의 과정은 연구의 초점을 자극, 반응에 두게 되며 이런 연구는 가장 객관적이다.
셋째 내적 과정은 대체로 과학적 연구에서 제외한다.
다섯째 학습은 행동의 변화를 내포한다.
여섯째 유기체는 빈 백지로 탄생한다.(tabula rasa)
일곱째 학습은 대부분 환경적 사건의 결과이다.
여덟째 가장 유용한 이론으로 간명한(간명성 parsi-mony)것인 경향이 있다.
학습심리학이란..
'교육 >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개념에 대해서 (0) 2021.05.18 심리학의 시작 - 시작에 대해서 (0) 2021.05.11 학습4. 공포증은 고전적 조건형성을 설명한다. (0) 2021.05.11 학습3. 정서반응의 고전적 조건형성 (0) 2021.05.03 학습2 (0) 2021.04.28